매번 윈도우를 설치할때마다 이 문제가 있었는데


이 문제의 경우 https://support.microsoft.com/ko-kr/kb/3102810 의 패치를 적용시키니 문제가 해결할 수 있었다.


위 링크에 들어가서 적절한 윈도우 버전에 대한 패치를 다운받아서 업데이트를 실행하기 전에 먼저 설치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5분 이내로 목록을 받아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래 패치 파일은 한국어 기준입니다. (다른 언어가 설치해도 크게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이네요)


위 링크 가서 받으셔도 좋고 여기서 받아도 좋습니다.


32비트는 x86, 64비트는 x64를 받아주세요.


Windows6.1-KB3102810-x64.msu


Windows6.1-KB3102810-x86.msu






아래는 위 링크에서 가져온 내용.

============================================================


문제점

 - Windows 7 및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업데이트 설치 및 검색이 느려지고 높은 CPU 점유율을 나타냄 


이 업데이트에서 해결된 문제

- 시스템 센터 구성 관리자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설치할 때,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스템 센터 구성 관리자가 오버 로드 됩니다.

- Windows Update 클라이언트를 Windows 10으로 업그레이드할 때 Svchost.exe 프로세스의 CPU 사용률이 100%를 차지합니다. 




'0x30 유틸리티 > 0x32 ut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ivate Git - Gitlab 설치하기  (2) 2014.12.24





예전부터 소스코드 관리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 고민은 하고 있었지만 github를 사용해볼까 하기도 했지만 private repository를 제공하지 않아서 부적절했다.


그후 private repository를 제공하는 bitbucket이라는 git 서버를 찾았는데 조금 사용하다가 말았다.


그리고 그동안 잠시 잊고 지내다가 얼마전에 git을 만질일이 있었고 이때 gitlab을 만나게되었다.


gitlab은 개인 서버에 git서버를 '매우 쉽게' 구축할 수 있는 유틸리티이다.


일단 공식 사이트는 아래 링크를 따라가면 된다.


https://about.gitlab.com/downloads/


그런데 하나 확인해야 할 것이 있다. gitlab의 권장사양은 64비트 운영체제(지원 운영체제는 ubuntu와 기타)이며 램 2기가 이상, cpu 코어 2개 이상이다.


cpu 코어정도는 뭐 신경을 크게 안써도 되지만 램이 부족하면 말이 달라진다.


실제로 1기가 램인 내 개인 서버에 설치해보니 포풍오류가 나와서 로그를 찍어보니 메모리 할당을 못한다고 한다.. 정확히 2기가가 아니라서 그런진 모르겠지만,


램이 2기가가 넘는 환경에서 구축 하는 것을 권장하고 64비트 VM에서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wget https://downloads-packages.s3.amazonaws.com/ubuntu-14.04/gitlab_7.6.1-omnibus.5.3.0.ci-1_amd64.deb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sudo apt-get install postfix # Select 'Internet Site', using sendmail instead also works, exim has problems

sudo dpkg -i gitlab_7.6.1-omnibus.5.3.0.ci-1_amd64.deb


우선 설치할 서버(ubuntu 14.04.1 기준)에 wget으로 위 링크(링크는 업데이트마다 바뀌니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하세요)를 다운받는다.


ssh 서버와 postfix 설치는 생략하겠다. (postfix는 따로 설치 안해도 된다.)


그다음 dpkg로 deb 패키지를 설치한다.


잠시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된다..


진짜 알아서 다해준다!


다만 처음에 vim /opt/gitlab/embedded/service/gitlab-rails/config/gitlab.yml 명령어로 host와 port를 설정해주면 된다.


만약 오류가 난다면 gitlab-ctl tail 명령어를 사용하여 무엇이 잘못됬는지 실시간 오류를 보면서 구글링을 해보자.. (본인의 경우 8080포트가 겹치는 것이 있었다. 간단하게 unicorn의 포트를 바꿔줫더니 해결!)


그리고 별다른 오류가 없다면 바로 본인 서버에 접속하여 맘껏 사용하도록 하자!





서버 몇가지 명령어


gitlab-ctl start # 서버 시작

gitlab-ctl stop # 서버 중지

gitlab-ctl reconfigure # 서버 설정 변경 후 실행

gitlab-ctl restart # 서버 재시작


부록--


처음엔 32비트 서버에도 설치할 일이 있어서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64비트 패키지를 강제설치 했는데 당연히 실행이 안되고 설치도 덜 되었다.


그래서 다시 패키지를 지우고 32비트 전용을 찾아다녔는데 공식 홈페이지에서 배포하는 패키지는 모두 64비트 전용이라고 한다.


절망과 함께 다시 찾아다니다가 bitnami 에서 배포하는 패키지를 발견했다.


https://bitnami.com/stack/gitlab/installer


위에서는 32비트에서 설치하길 원할경우, 64-bit 문구가 붙어있지 않은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설치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배포하는 버전보단 아주 약간 작업할 것이 있지만, 크게 힘든건 없다.


http://smile8916.tistory.com/38 이곳을 참고하여 설치하면 될 것이다.



+ Recent posts